When I look at Kwon Doohyoun's photographs, words do not enter my mind. I simply experience great pleasure. It is purely sensual, unrelated to visual analogies or other works of art. I also experience wonder, excitement, sadness, melancholy, and joy. But these are only labels that I use to approximate my feelings after I have viewed his work.
The quality of Kwon Doohyoun's work is undeniable. I simply knew this immediately after seeing it for the first time.
As I think about Kwon Doohyoun's imagery, other artists come to mind: first Stieglitz, Steichen, Rothko, and then others. It might seem odd for me to compare the work of such a young person with the works of established masters, but I can only describe what I believe is true after studying, teaching and living with art and design for almost my entire life. It also seems a bit odd to use the visions of artists associated with New York City in a context with a Korean artist. The fact that I have had similarly wonderful aesthetic responses to western art as I have had to eastern art confirms that art is for me, universal.
Kwon Doohyoun is a brilliant artist who possesses a universal vision that communicates instantly to a Limitless audience. I feel extremely fortunate and grateful that he has shared his art and thoughts with me.
Professor Don Ariev
Chairman, Graduate Communications Design Department
Pratt Institute
권두현의 작품을 본 순간의 그 감정을 표현해낼 적절한 단어는 없다. 다만 나로 하여금 커다란 즐거움을 가져다줬을 뿐이다.
이는 다른 어떤 미술 작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순수한 감각적 경험이요. 또한 놀라움, 흥분, 슬픔, 우울함, 환희에의 경험이다.
그러나 이런 단어들은 표면적 수사에 불과하다. 그의 작품을 보고 난 후의 내 감정들을 어떤 말로 풀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권두현의 작품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처음 그의 작품을 봤을때 바로 알 수 있었다.
두현의 작품들은 내게 Stieglitz, Steichen, Rothko같은 예술가들을 떠올리게 한다. 풋내기 젊은 작가의 작품을 명성 높은 대가들과 비교한다는 것을 의아히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다. 예술과 디자인으로 평생 공부하고 가르치고 살아온 사람으로서 나는 내가 진실이라고 믿는 바를 있는 그대로 말할 뿐이다.
한국의 예술가를 평함에 뉴욕 예술가를 비교하는 것이 이상할지도 모르겠으나 예술은 보편적으로 하나로 통한다. 동양의 작품에서 느끼는 미적 감각과 그 반응이 서양의 예술 작품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는 것이 그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두현은 뛰어난 아티스트다. 뛰어나다함은 어떤 관객과도 곧 바로 소통이 가능한 보편적인 눈높이( 감성 )를 지니고 있다는 말이다. 이런 그와 내가 예술과 생각을 나누고 있다는 것은 내게 더할 수 없는 행운이요, 기쁨이다.
Professor Don Ariev
Chairman, Graduate Communications Design Department
Pratt Institute
프랫 인스티튜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돈 아리에브 교수
「마음 풍경을 그리는 화가, 권두현의 작품 세계 : ‘특별한 보편성’으로의 초대장」
캔버스 속에서 피어난 것 같은 꽃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치 그림 속의 꽃이 바람결에 살며 시 흔들리고 있는 것만 같다. 정지된 그림 속에서 느껴지는 움직임, 그 움직임을 타고 꽃향기 가 캔버스 밖의 관람객에게까지 흘러나오는 것 같은 환상적인 감각. 화병에 꽂힌 꽃은 여린 햇살 사이 아득하게 펼쳐진 안개 사이에 놓여있는 것도 같고, 마치 몽글몽글 솟아오르는 구름 위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캔버스 너머의 세계와 관람객이 서 있는 두 공간을 건너다닐 수 있도록, 작가는 꽃(천상화)이라는 초대장을 보내는 것 같기도 하다. 화병에 꽂힌 꽃이지만 아 득한 공간감 덕문에 정물화이기도 하고 풍경화이기도 한 독특한 그림으로 완성된다. 천상의 들판에 피어난 꽃, 작가의 마음 풍경이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동안 작품을 찾아다녔습니다. 내 안으로 안으로...(2019)’ 그의 작품은 내면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계이다. 꽃을 그린 시리즈인 천상화 작품 연작뿐 아니라, 2020년 전시를 통해 선보인 풍광산수화에서도 작가의 내면의 눈을 통해 그려내는 그만의 화풍은 여실히 드러난다. 아니 이러한 그의 화풍의 정점을 풍광산수화에서 보였다고 할 수 있다. 풍광산수화의 작가노트에서 작가는 ‘회화를 시작했을 때 그리고자 했던 그림의 목표점’에 맞닿은 전시라고 밝히며, ‘그림에는 몇 가지 요소가 있는데 우리네 전통은 서양과는 많이 다르다. 그 중에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기운을 강조했다. 나는 보이 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마음의 눈으로 보려고 한다.’ 고 말했다.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마음의 눈으로 보려고 하는 것, 그것이 권두현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그림을 감상하는 데에는 정답이 없다.
누군가는 그의 그림에서 하얗게 일어나는 파도의 포말을 보고, 누군가는 그의 그림에서 비온 뒤 물러가는 구름을 본다. 때로 그 구름은 먼 곳에 드높게 솟은 산맥 같기도 하고, 힘차게 내 달리며 구불거리는 강물 같기도 하다. 이뿐만이 아니다. 마치 트릭아이처럼 끝없이 펼쳐진 나 무와 숲을 그린 것 같은 이미지들 사이로 여인의 모습이 드러나기도 하고, 먼 곳을 응시하며 고독에 잠긴 불세출의 화가 고흐의 얼굴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의 그림들은 이처럼 관람객으 로 하여금 저마다 다른 오브제를 발견하게도, 몇 걸음 떨어져서 보면 천국의 문으로 들어서는 연인이 드러나게도 하는, 생각을 한 번 바꾸면 전혀 다른 이미지가 되게 하는 그러한 힘이 들 어 있다. 사람의 고정된 생각이 그림을 찬찬히 들여다봄으로써 갑자기, 한 순간에 다른 차원의 방향으로 틀 수 있는 힘, 그러한 힘이 담긴 그림이 권두현 회화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처럼 사람의 생각을 이끌어내는 그의 회화의 특징은 사진작가로서 그의 예술작업이 출발했 던 때의 그의 사진작품의 특징과도 맞닿아 있다. 흔들리는 초점, 명확하지 않은 사물, 흐릿하 게 번지는 빛과 구불거리는 사물들 속에서 그는 그의 사진을 보는 사람들이 그 사진들을 통해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풍경들을 건져 올리기를 바랐다. 명확한 이미지는 한 가지 형상만을 제시할 수밖에 없지만, 그의 흐릿하고 흔들리는 사진을 통해서라면 사람들은 자신의 과거와 맞닿아 있는 저마다의 기억들 가운데 무언가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잊고 싶지 않 은 것이든,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든, 이미 잊었다고 생각한 것이든, 그의 사진을 통해 그 어 떤 기억과 연결될 수 있다면 그의 사진작업은 사진을 보는 이들 모두에게 저마다 다른 의미로 다가갈 것이다.
일찍이 프랫인스티튜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돈 아리에브 교수는 그의 초창기 사진 작품을 두고 “스티글리츠, 쉬타이헨, 로스코 같은 대가들을 떠올리게 한다”며 “어떤 관객과도 곧바로 소통이 가능한 보편적인 눈높이( 감성 )를 지니고 있다”고 평한 바 있다. 권두현이 18년 동안 작업을 해 온 지금 시점에 뒤를 돌아보면, 그의 작품세계 초창기에 이미 그의 예술세계 전체 를 관통하는 예언적인 평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보편적인 눈높이로 다가가는 권두현의 작품 감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은 결코 보편적이지 않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저마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드러나게 한다. 같 은 이미지를 놓고 다른 것을 찾아낼 수 있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결이 다른 생각들이 작품 을 통해 비춰 진다. 그렇게 드러난 생각의 방향을 한 순간 틀게 하여 관람객에게 또 다른 이 미지들을 볼 수 있게 한다. 때문에 그의 작품을 관람하는 경험은 유일성을 띤다. 관람객들은 같은 작품을 앞에 두고서도 저마다의 고유한 의미를 찾아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는, 작품 감상보다는 ‘체험’이라고 이름 붙이는 것이 권두현 그림과 사 진에 더욱 어울린다. 한 번 사물을 다르게 보는 체험을 한 이는 그 사물을 결코 이전과 같은 눈으로 볼 수 없다. 권두현 그림과 사진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이 같은 존재적 ‘체험’을 하게 하기 때문에 특별하며, 이 같은 특별함은 그의 그림과 사진 앞에 서 있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 기 때문에 보편적이다. 이처럼 권두현 작품의 보편성은 그의 특별함과 맥을 같이 한다. 역설 적인 두 단어가 너무나 잘 어우러지는, ‘특별한 보편성’의 세계, 권두현 작품 속의 마음 풍경 이다.
권두현 개인전브로슈어(2002.02.19) 작가노트
이번 작업은 내가 회화를 시작했을 때 그리고자 했던 그림의 목표점과 맞닿아 있다. 그래서 조금 더 애틋하다. 10년의 시간을 독일 라이프치히 작업실에서 보냈지만, 이 작품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와야 했다. 한국인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이미지를 캔버스에 담기 위해서인데, 연어가 산란을 위해 태어난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몸속에 녹아 있는 내 근원을 찾아 가는 긴 여정에는 10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 인간은 자연의 한 일부라는 것에는 대부분 공감하리라 생각한다. 내가 태어난 곳에는 산과 강 그리고 뚜렷한 사계절이 있고 바다도 있다. 그래서일까 자연은 내 그림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물론 우리네 선조들도 자연을 늘 가까이했었고, 그것은 아주 오래된 우리의 DNA다.
화면에 그려진 자연풍경은 상상화다. 전통적 그리기 방법 중에 하나이며, 그것을 배우지는 않았지만 나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그림에는 몇 가지 요소가 있는데 우리네 전통은 서양과는 많이 다르다. 그중에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기운을 강조했다. 나는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마음의 눈으로 보려고 한다. 이런 내 욕구가 어디에서 왔을까 생각해 본다. 배우지 않아도 스스로 깨닫고 알게 되는 것이 있다고 나는 믿는다. 몇 번을 생각해도 내게는 풀 수 없는 신비 중 하나다. 예를 들어 바다거북은 알을 뭍에 낳고 알들은 모두 같은 날 깨어나 모두 바다를 향해 간다. 같은 날 태어나는 것은 포식자로 하여금 살아남을 확률을 높이는 것이고, 곁에서 바다의 방향을 가르쳐주는 어미가 없어도 그들은 모두 바다로 향한다.
이번 시리즈는 기존의 <심상心象시리즈>의 일부이고 “풍광산수화(風光山水花)”라고 소제목을 붙였다. 요즘은 물질뿐만 아니라 감정도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흩어지는것이아닐까란생각이든다. 각자마음속에흩어져있는감정과기억의 조각들이 작품을 통해 긍정에너지로 삶에 작용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본다.
권두현
Artist Statement of Kwon Doohyoun
This work reaches a point in painting that I wanted to achieve when I first started painting. So, it holds a place in my heart. After spending 10 years in the Leipzig workshop in Germany, I had to return to Korea to work on this project. This was to place the inner images that I have as a Korean onto the canvas. I was like the salmon going upstream back to its birthplace to spawn. It took about 10 years to discover the essence that was dissolved in my body. I think most of us would agree that humans are a part of nature. My birthplace has mountains, rivers, four distinct seasons, and the sea. Perhaps this is why na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my painting. Of course, our ancestors too have always been close to nature. It has been intertwined into our DNA since time immemorial.
The landscapes depicted on the canvases are imaginations. I use one of the traditional methods of painting, and although I did not learn it, it came naturally to me. There are several elements in painting, and our tradi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 Among them, I placed emphasis on the invisible energy rather than the visible. I try to see the invisible, rather than the visible, with the mind’s eye. I wonder where this desire comes from. I believe there are things that you can realize and know for yourself even without being taught. No matter how many times I mull over it, this is one of the mysteries that I cannot fathom. For example, sea turtles lay their eggs on land, the eggs all hatch the same day, and all of the young turtles head towards the sea. Being born the same day increases the chances of survival from predators. They all head to the sea even without a mother to teach them the direction they should go.
As part of the former series <Own Image>, this series is subtitled “Pung_Gwang San_Su_Hwa”. These days, I often think that not only things but also our emotions do not disappear but simply scatter. I hope that through this exhibition, the pieces of emotions and memories scattered in the mind of each of us will act as a positive energy in life.
Kwon Doohyoun
권두현개인전브로슈어(2002.02.19).pdf
여행을 좋아한다는 이를 만났다. 이유를 묻자 그는 새로운 환경을 접하고 그 풍경이 주는 기쁨이 좋아서라고 했다. 그렇다면 나는 늘 여행을 하며 사는 셈이다. 순백의 캔버스 위에 마음 속 풍경을 밖으로 꺼내어 전혀 보지 못했던 새로운 이미지를 창작하면서.
이러한 마음을 표현한 ‘심상心象_Own image’ 시리즈는 첫 눈에는 자연의 한 부분을 나타낸 풍경화로 보이지만, 시점에 따라 여러 인물이 얽혀있는 듯한 장면 혹은 복합적인 색채와 입체적인 구조의 추상회화의 특성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시리즈를 통해 각자 느끼는 감정은 다르지만 바라보는 대상은 같다는 것, 맞고 틀리고가 아니라 서로 다를 뿐이라는 것을 말하고자 했다. 같은 것을 보고 다르게 느끼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상대가 본 것과 내가 본 것이 다르다면 그 근원이 어디인지 찾아가 보는 여행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심상心象_Own image’ 시리즈는 보이고자 해서 그려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보고자 해서 만들어졌다. 슬픔과 아픔도 인생의 한 부분이며 그 속에서 행복이라는 감정을 얻는 길은 스스로에게 있다. 마음이 허락하고 시간이 주어져 감사하는 마음으로 오늘도 행복한 여행을 하며, 그 결과를 사람들과 나누고자 한다. 나에게 가치 있는 일이 다른 이에게도 그럴 것인지 알 수 없지만,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행복이 될 것이다.
권 두 현
I met someone who likes to travel. When asked why, he said that he liked encountering new environment and feeling the joy coming from the scenery. If so, I am a person who travels all the time by taking the scenery inside my mind out to the white canvas and creating new image that I have never seen before.
In fact, ‘Own Image’ series are the expressions of my mind. They look like a landscape painting that depicts a part of nature at a glance. But depending on how you look at them, they are also characterized as an abstract painting on account of the scenes where several persons are mingling around, complex colors, or the cubic structure. With the series, I meant to say that everyone feels differently, but they are looking at the same thing, and it is not about right or wrong but about difference. It is not wrong that you look at the same thing but feel differently. If what others see is different from what you see, it may be good for you to travel to find the reason for it.
I drew ‘Own Image’ series not to show them to others but to see them myself. Sadness and pain are all part of our lives. The way to find the feeling of happiness in it is inside you. As my heart is willing to do it and I have time for it, I am on a happy trip again today with gratitude, and I want to share the product with others. I am not sure if something valuable to me would turn out to be valuable to others as well, but if there are people who are in need, I guess it would be another kind of happiness.
Kwon Doohyoun
작가노트5.2009. - 中心중심(아트사이드)
삶에서 만난 순간의 기억 권두현
내가 만드는 이미지는 아주 짧은 시간에 만들어 진다. 이는 0.1초도 안 되는 시간에 카메라셔터 한번 "찰칵" 하는 소리와 같다. 사물이나 풍경이 빛에 의해 내 눈에 보여지 듯,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은 필름(혹은 CCD)에 고정되어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로 만들어 진다. 그 이미지는 나의 가족, 집, 주변뿐 아니라 여행했던 낯선 풍경, 사랑한 사람, 등 기억하고 싶은 것들을 다시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얻어진 이미지는 나로 하여금 가끔 생각에 잠기게 만들며 난 그 순간이 행복하다. 마치 그때 그 순간으로 돌아간 듯하다. 할머니의 사진을 보면 유년시절의 시골할머니의 시골집과 그 앞의 개울에서 수영하고 고기 잡던 생각, 나무 아래에서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잠자던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아주 오래전 일이지만 그 느낌은 아직 선명하게 남아있다.
삶이란 태어나서 시간을 보내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를 말하며 우리는 그것을 인생이라고도 한다. 또한 시간은 오늘의 현재와 어제의 과거 그리고 내일이라는 미래를 아우르며, 살아있음은 지금 이 순간 즉, 미래가 과거로 바뀌어 가는 순간을 의미한다. 지난 시간으로 되돌아 갈 수는 없지만 우리는 과거를 기억하고 회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없었던 일을 상상할 수 도 있다. 사람에게는 각자의 인생이 있고 이것은 모두 소중하며 생의 종착역으로 다가갈수록 과거의 기억을 불러내어 인생을 되돌아보게 된다. 인간은 기억하고 싶은 것을 남기기 위해 옛 부터 동굴 벽에 그림을 그리고 조각을 하였으며, 문자를 만들어서 기록으로 남겼다. 역사를 보면 시대에 따라 남기는 수단이 변해온 것을 알 수 있고 그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위는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문자 이전은 생활상을 동굴 벽이나 돌에 그리거나 새겨 놓았고, 흙으로 만들거나 돌이나 나무를 이용하여 깎아서 형태를 남기기도 하였다. 유화물감이 개발된 후부터는 화려한 색채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최근에는 그리지 않고,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을 상으로 만들 수 있는 카메라로 좀 더 편리하게 이미지를 얻어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 사진의 등장으로 화가들은 더 이상 그림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건재하며 그 이유는 사진이 표현하기 힘든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림과 문자는 표현에 있어 서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감정의 표현에는 문자가 유리하며 형태의 설명에는 그림이 더 유리하다. 문자는 해독을 해야 하는 과정이 있어 배우는 과정이 필요하고 형용사처럼 사물의 상태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에서는 처음부터 오류를 가지고 있기에 정확한 의사 전달이 어렵다. 단지 우리가 익숙해서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 것일 뿐이다. 거기에 비해 그림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 접근이 용이하나 감정과 같은 전달이 어렵다. 사진과 그림을 비교하면 사진은 기계로 빛의 잔상을 담아서 얻는 것이라 그림에 비해 비교적 사실적인 면이 있고 주변 상황이나 자기의 현재 모습을 기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왜 사진을 이용하는가?
우리는 감정을 표현하고 기록하는 주된 수단으로 문자(글)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글이 가지는 약속된 고유의미를 아는 자만이 해독할 수 있다는 한계를 넘고자 이미지를 사용하며, 빠른 이미지의 기록과 눈으로 보는 상과 유사한 이미지를 얻는다는 장점 때문에 사진이라는 매체를 선택했다. 하지만 그림에 비해 작가의 감정을 주관적으로 표현하는 점에 있어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 즉 한 번의 셔터 누름으로 결과물을 얻어야 하기에 그림처럼 작가의 의도를 가미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점이 그것이지만,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는 사진의 그러한 단점은 장점이 되어 주고 따라서 가장 적합한 도구이기에 사진을 이용하여 작업하고 있다.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가?
누구나 인생을 살아오다보면 과거의 시간과 경험에서 얻어져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기억’이 있다. 기억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능력 중 하나인데 지난 모든 시간들을 기억할 수도 없고 기억된 것들이라 해도 그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해낼 수도 없다. 또한 기억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지워지기도 왜곡되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좋은 기억은 간직하고 싶어 하고 기록하여 남기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잊힌 기억이 무엇인가에 의해 문득 떠오르는 순간을 경험했다면 아마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사람들이 내 작품을 보았을 때 무엇인가를 그들 스스로의 기억에서 찾기를 바란다.
왜 상을 흐리게 만드는가?
상이 또렷하면 연관성이 줄어든다. 인간에 눈은 생각보다 정밀하게 만들어져 있다. 가끔 그 능력에 놀란다. 번화한 거리를 걸어갈 때 수많은 군중들 사이에 특별이 노력하지 않아도 나의 눈과 뇌는 그 속에서 나와 연관 있는 사람을 찾아낸다. 이는 인간의 얼굴의 보편적인 눈과 코, 입술의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작은 차이를 감지함을 말하며 그것으로 구분되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순간적으로 찾아낸다. 그래서 연관성이 있는지 없는 지를 구분해 내기에 평상적인 정보까지 주고 나머지 작은 부분을 흐림으로써 연관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연관성을 높이고자 상을 흐린다고 하나 이는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 그 이유는 너무흐려져 있으면눈에서받은정보를대뇌에서판단할수없어두통을 호소하거나 포기하기 때문이다.
상을 연관 지어 기억을 떠올려야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지금의 정보는 그 양이 엄청나다. 100년 전에 신문이 있었고 지면이 한정되어 정보도 양이 정해져 있었다. 영상을 전달하는 방법은 영화 정도였고 실시간 중계는 존재가 불가능 했다. 물론 300년 전에는 소리에 전달도 실시간은 없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때의 사상이나 철학 시집을 지금도 읽고 감동을 받고 음미한다. 이는 사람의 사는 생활은 변해도 기본적인 인간의 본성에 대한 접근은 변함이 없기 때문일 게다. 사람의 도리나 삶과 죽음의 인식 같은 철학 말이다. 현대는 전 세계를 생중계할 수 있고 TV는 24시간 새로운 정보를 쏟아내며 이는 인간이 사색하는 시간을 줄여 결국 인간성의 상실을 가져오고 있다. 불교나 기독교도 사색하는 것을 수련의 한 과정으로 하고 있다. 스스로 자신에 대한 생각은 인간의 삶을 스스로 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신의 기억 속에서 연관성을 찾아 잠시나마 그때를 사색할 수 있게 함이고, 나아가 생각하고 있는 자아를 인식하게 하고자 함이다.
사진인가 회화인가?
일반적이 현대인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우리는 상식이라 한다.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돌고 있다고 믿던 시대에 한 남자가 그것과 반대 하는 생각을 말했다. 그는 죽음을 당할 뻔했다. 상식이란 이처럼 엄청난 믿음인 것이다. 나에 사진 작품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그림에 대해서 교육 받고 학습되어 져서 이다. 이는 그림이 가지는 요소 구도, 색상관계, 질감등과 같은 것을 배웠고 이는 상식적 기준이 될 정도로 보편적인 것이 되어있다. 그래서 내가 찍은 사진에서 그들은 그림에서 만 있다고 배워온 요소를 보는 것이고 그것을 보고 그들에 판단에 사진을 그림이라 인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들에 상식에서 벗어나 있을 뿐 분명 순수 사진이며 이것을 Ambiphoto 라고 한다.
Ambiphoto란?
사진으로써 회화의 표현처럼 보이는 양면성이 있는 사진을 지칭하는 단어. (ambi-양쪽을 나타내는 접두사에 +photo사진의 합성어로, 2002년에 만들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사진이 가지고 있는 빛의 촬영으로 만들어진 사진이미지가 회화의 구성요소(점, 선, 면, 형, 색, 질감, 빛, 운동 등)를 사진보다 회화에 근접하게 구성되어져서 회화로 인식되는 사진. 사진위에 회화의 붓 터치를 물감으로 칠한 것은 아니며,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컴퓨터그래픽스(CG)를 말하는 것도 아니다.
기존의 작품과 내 작품의 가장 큰 차이는?
보는 관객이 작품을 완성하는 부분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새로울 것이 없어 보이나. 가장 중요하고 차이가 되는 부분으로 다음과 같다. 보는 관람자의 대뇌에 저장되어 있는 기억을 끌어내기 위해 연관성이 높은 요소를 갖는 이미지를 만들고 그 연관성에 해가 될 수 있는 요소 즉 사진에서 주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에 해당하는 정보를 주지 않는다. 물론 제목도 없고 단지 작품을 구분할 수 있는 번호만 있을 뿐이다. 사진에서 말하는 기록에 충실했음에도 그것을 증명하는 정보를 부정하고 있기에 인위적인 사진인 것처럼 비쳐지나 이는 사진으로써 지위를 얻는 것보다. 관람자가 스스로 생각해내는 그 생각이 결국 작품이기에 작품을 위해 사진으로써 위치를 포기한 것이지 분명 인위적인 연출된 이미지가 아닌 순수 사진인 것이다. 삶의 한 부분 부분의 기록 그래서 얻어지는 아주 작은 차이지만 이것이 내 작품과 다른 작품과의 가장 큰 차이다.
다양한 이미지를 만드는 이유?
사람의 인생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무수히 많으며 각자에게 있어 의미가 다르게 남게 된다. 어머니를 떠올리는 기억도 어떤 이는 다리위에서 어머니와 같이 걸어가던 장면을 잊지 못하고, 생일선물로 받은 책, 엄마가 쓰시던 목걸이 이처럼 어머니를 기억하는 것은 같아도 대상이 모두 다른 것처럼, 기억을 만드는 각기 다른 많은 부분들이 있고 각자의 생활환경도 다 다르다. 일례로 모두들 고향을 그리워하나 다 다른 풍경이다. 지금껏 여러 장의 이미지를 만들었지만 앞으로도 계속한다 해서 모든 것을 다 담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이번 전시에 전시타이틀을 중심(中心)이라 한 이유는?
내가 카메라를 이용해서 만드는 이미지에 개념적 중심에 '인식'이라는 부분이 있고 이것은 사람이라는 존재를 만들어 주는 하나의 요소이다. 인식은 마음이라는 넓은 추상적 공간에 한 부분을 이루며 모든 것은 마음에 따라 감정의 변화가 생긴다. '마음에 중심'은 나의 인식의 주체를 지칭하며 나를 중심으로 서로 서로 각각의 중심으로 움직이는 조화 즉 '사회'를 말한다. 상호 거리의 변화, 속도의 변화에서 우리는 빠름, 느림, 정지를 인식하고 시간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각각의 사회 구성적 상호 관계의 요소는 여러 가지이고 그 개별적 중심에서 서로 다른 차이를 느끼며 인식하는 우리의 생각의 중심(마음)에 대한 이해를 찾고자 이번전시를 '중심'이라 했다, 결국 마음이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기쁘고, 슬프고, 외롭고 하는 인간의 감정의 결정이 이루어지기에 그 마음에 중앙에서 바라보는 주변의 대상의 표정들이 이번 전시이다. (감정은 형용사로 표현되어진다.)
나는 나를 중심으로 모든 것을 담고 있지만 때로는 상대에 위치에서 바라보며 생각하고 표현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기에 표현 소재에 재한이 없다. 단지 서로의 관계와 그 속에 내가 있을 뿐이다.
-권두현-
Time/Light - The Center (Gallery ARTSIDE, Beijing)
Memory of Moment Encountered in Life Kwon doohyoun
The image I make is made in an instant. This is same as the time shorter than 0.1 second during which the shutter of the camera makes the sound of flipping one time. As a matter or a scene comes to my eyes via light, the light coming through the lens of a camera is fixed on the film (or CCD) and made to a still image. The image enables me to see again what I want to remember such as not only my family, home and surroundings but also unfamiliar scenes of the places I travelled and the person I loved. The images obtained like this often make me lost in reflection and I love such a moment. I feel like I am back to that moment. When I watch pictures of my grandmother, they make me think of the country house of my grandmother and the brook in front of it where I enjoyed swimming and fishing when I was a child and make me experience the coziness I felt while I was sleeping resting my head on the lap of grandmother. Though it was a great while ago, the feeling remains still vivid.
Living means the time from one is born until the moment he dies after spending time, which we call a human life. Also, time encompasses present, past and future and being alive means this moment, the moment which is changing from the past to the future. Though we can not return back to the past time, we have an ability to remember and retrospect the past, and can even imagine something which did not take place.
In order to leave what they want to remember, humans have drawn pictures and made sculptures on the walls of caves from ancient time and left records using letters they created. When we see history, we come to know that the means of leaving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though the behavior to express something was the same. Before invention of letters, they drew or engraved the looks of their lives on cave walls or rocks or left forms made of clay or by carving stones or wooden pieces. After oil paint was developed, splendid colors could be expressed and recently we came to leave records more conveniently by acquiring images using a camera which can make light visible to our eyes into images.
Though artists thought that there were no need for pictures to exist any more when photograph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ey are still thriving and the reason is because there is a part which photographs can not easily express. Pictures and letters respectively have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in expressing something. In expressing feelings, letters and, in expressing forms, pictures are advantageous. For letters, a course of learning is required as it involves course of decoding and, in words expressing state of an object or feeling such as an adjective, exact communication is difficult as it intrinsically involves errors. We simply do not realize it for we are accustomed to it. Comparing with letters, approach to an image made of picture is easy beyond the limit of language but it is difficult to transfer something like feeling. Photographs are mainly used to record the surrounding state and current looks of oneself as photograph has realistic side and is faster in comparison to picture because photograph is obtained by putting incidental image into the machine.
Why I use photographs?
We are using letters (writing) as the main means to express our feeling and leave record. But, we use imag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writing that only those who know the unique meaning agreed upon can interpret it and photograph is selected because of its strong points that it can record images fast and obtain images similar to those we see through eyes. But, a photograph has missing part in subjectively expressing the emotion of the artist in comparison to a picture. Namely, though the missing part is that it lacks time to spare for addition of the artist's intention like in a picture because the product has to be obtained by pressing on the shutter just one time, I am performing my work using photograph because such a weak point of photograph becomes advantage for the part I want to express accordingly making it the most adequate tool.
What I want to express?
Everyone going through a life has 'memory' obtained in the past time and experience and stored in the head. Memory is one of numerous abilities humans have but humans can not memorize all the past time or recollect all what have been memorized. Also memory is sometimes erased or distorted as time passes. Accordingly, we want to cherish good memories and leave them via recordi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moment of suddenly recalling a forgotten memory by something may easily understand what I intend to express. I wish people may find something out of their own memories when they see my works.
Why I make the images blurred?
A clear image reduces interrelation. Human eyes are made more precise than they are thought to be. I am often surprised at the ability. When I walk on a bustling street among numerous people, my eyes and brain, without making special efforts, find a person I know among them. This means detecting small differences of the locations of eyes, nose and lips of the person from those of a typical human face and the person is detected momentarily based on information classified like that. Thus, I provide even the normal information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interrelation or not and blur the remaining minor parts in order to enhance interrelation. Though blurring increases interrelation, it should not be excessive. It is because, if too blurred, the cerebrum may not be able to judge the information received and complain of a headache or give up.
What is the reason why we have to recollect a memory by associating it with an image?
The volume of information is huge nowadays. There were newspapers 100 years ago but the space was limited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fixed. The only means to transfer images was a movie and real time relay was impossible. Of course, there was no means to transfer sound in real time 300 years ago. But we read philosophy books and anthologies of that time even now to be impressed and appreciate. It may be because the approach to the basic nature of humans does not change although environment of human lives changes. I mean philosophy such as rationality or recognition of life and death. In the modern society, events in any part of the world can be relayed in real time. TV stations are pouring out new information 24 hours a day, which reduces the time of humans to think and causes loss of humanity eventually. Buddhism and Christianity too take speculation as a course of training. It is because thinking about oneself can change his own human life. It is to let the person be able to think about that time for a while in search for interrelation by himself in his memory and further to recognize the self that is thinking.
Is it a photograph or a picture?
We call the knowledge general moderns know a common sense. In an age when people believed that the sun was turning around the earth, a man expressed his thought against it. He was almost killed. A common sense is such a tremendous belief. People seeing my photograph works are educated for and learn about pictures. They learnt about factors pictures have such as composition, color tone, feel of material, etc., which have become so universal that they become standard of common sense. Accordingly, they see from the photograph I took the factors which they leant were only in pictures and recognize the photograph as a picture because of that. But, though i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ir common sense, it is clearly a pure photograph, which is called Ambiphoto.
What is Ambiphoto?
A word indicating photographs with ambilaterality which look like picturesque expression. (It is a compound word of ambi-[a prefix indicating both] + photo made in 2002 and used up to now.) A photograph which is recognized as a picture because the photograph image made by shooting light which the photograph has composed the elements of picture (point, line, face, shape, color, feel of material, movement, etc.) closer to a picture than to a photograph. The touch of brush of picture on the photograph was neither by paint nor CG made using a computer.
W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existing works and my works?
It is the fact that the person seeing my work becomes the part completing the work. Though it does not sound novel,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different part which is as follows: In order to extract memory stored in the cerebrum of the person seeing the work, the image was made to have factors of high interrelation and the factors which can be harmful for interrelation such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when', 'where' and 'how' which a picture gives are not provided. Of course, there is no title of the work but a number with which the work can be identified. It looks like an artificial photograph because, although it stuck to the records stated for a photograph, it is denying the information proving it. But it is clearly a pure photograph, not an image artificially produced, which gave up its position as a photograph for a work as the thought the person who sees the work can think out is the work at the end. The very small difference obtained from the record of a part of life, thus, is the biggest difference of my work from those of others.
The reason why I make diverse images?
Numerous things happen in a life of a person and leave different meanings to each person. As to a memory recollecting one's mother, someone may not forget the scene of walking on a bridge together with his mother and others, of the book mother gave him as a gift or of the necklace his mother wore. Like this where the subjects are all different though recalling mother is same, there are lots of different parts making memories and living environment of each person is different. As an example, though all people miss their home town, the scenes are all different with each other. Though I have made a lot of images up to now and can continue making them, I can not cover everything.
The reason why I choose the 'Center' as the title for the exhibition?
There is a part named 'recognition' in the conceptual center of the images I make using a camera and that is a factor making the human existence. Recognition forms a part in the wide abstract space of mind and emotional changes are all made depending on the mind. 'Center of mind' indicates the subject of my recognition and means harmony moving around myself, each person respectively, viz. society. We recognize 'fast', 'slow' and 'stop' in the changes of the mutual distance and of the speed as well as of time. I chose 'Center' a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with an intention to pursue understanding of the fact that there are diverse factors of interrelation of social composition and of the center(mind) of our thought which recognizes the difference with each other at the individual center. As human emotions such as 'pleasure', 'sorrow' or 'loneliness' are decided in the abstract concept called mind after all, the looks of subjects surrounding the works seen from the center of the mind are exhibitions of this time. (Emotion is expressed in an abjective.)
Though I am incorporating everything centered on myself,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subject matter as I sometimes try to watch things, think and understand expressions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party. But, there is mutual relation and me inside it.
- Kwon doohyoun
2009년 02월호 글 : 이진숙 미술평론가
사람들의 기억을 끄집어내는 작품
...
“네,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작가가 담담하게 웃으며 답한다. 작품 앞에서 작가보다 관람객이 더 많은 말을 하는 재미있는 상황이 벌어진다. 그의 작품은 열려있고, 관람객은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그의 작품을 매개로 해서 표현하는 것이다. 부드러운 질감과 흐릿한 화면 때문에 그림처럼 보이지만 권두현의 작품은 사진이다. 그의 사진은 사물의 디테일함도 구체적인 제목도 없다. 랭보의 시 중에 이런 구절이 있다.
“Heureux, comme avec une femme(한 여자와 함께인 듯 행복하게).” 이 시의 울림은 바로 ‘한 여자’라는 표현에서 비롯된다고 철학자이자 소설가인 알랭 드 보통은 말한다.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애매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각자 자신의 추억을 대입할 수 있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제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억’입니다. 사람은 모두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죠. 죽음을 맞이하는 그 순간까지 시간이 축적되고, 그 시간은 기억으로 쌓입니다. 축적된 기억 자체가 삶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왕이면 좋은 기억을 생각하는 것이 좋겠지요. 제 작품이 그런 기억의 시발점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사진 작가로 독일로 가서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되어서 한국에 돌아 왔을때 aroute 이승환 부장님 께서 작업실 방문을 해주시고 "권두현이 돌아 왔다." 라고 해주셨다.